안녕하세요. 사단법인 캠프 블로그 지기입니다 🙂

어느덧 초여름인 6월이 찾아왔습니다. 여러분은 6월 하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6월에는 호국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국군장병들과 순국선열의 넋을 추도하기 위한 현충일부터 6.25전쟁일 등 기억할 만한 날이 많은 달인데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함을 느끼는 달입니다.

오늘은 KCOC(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에서 주최한 COVID-19 대응 주제별 교육 웨비나 이야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웨비나는 “COVID-19의 글로벌 상황 업데이트 및 UN 차원의 대응계획 COVID-19 : Vulnerable Population and UN response plans” 을 주제로 진행되었고,
그 중 제가 소개해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IFRC),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행한 ‘COVID-19와 관련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부분입니다.


먼저, 사회적 낙인이란 무엇일까요?

보건에서 말하는 사회적 낙인은 질병이 생겼을 때 질병의 부정적인 연관성 때문에 신분 상실을 경험하고, 꼬리표가 붙여지는 등 차별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낙인은 치료를 하는 의료 종사자, 가족, 친구,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현재 COVID-19은 특정 인종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사회적 낙인(social stigma)과 차별적 행동을 유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COVID-19는 왜 이러한 낙인을 가져왔을까요?

첫째, 새롭고 알려지지 않은 병이다.
둘째, 우리는 미지의 병을 두려워한다.
셋째, 그 두려움을 다른 사람과 연관 짓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대중들 사이에 혼란과 불안, 두려움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선입견들이 부추겨지고 있습니다.

COVID-19의 사회적 낙인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차별을 피하기 위해 일부 사람들은 병을 숨기거나, 진료를 받는 행위를 주저할 수 있습니다.
COVID-19의 전파력을 고려한다면, 낙인의 두려움으로 검사와 치료를 미루면서 일상생활을 지속할 경우 사회적으로 걷잡을 수없이 바이러스를 유행시킬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사회적 낙인을 예방하고 및 대응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COVID-19에 대해 이야기할 때, 특정 단어(의심스러운 경우, 격리)와 언어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낙인찍는 것을 부채질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디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은 COVID-19에서 대중적인 언어와 의사소통을 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셜 미디어와 다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도 사려 깊은 태도로 접근해야 하며 COVID-19에 대한 지지적인 행동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COVID-19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해야 하는 용어와 사용하지 말아야 할 용어에 대해 함께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용해야 하는 용어(DO) 사용하지 말아야 할 용어(DON’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

“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

“우한 바이러스”

“중국 바이러스”

“아시아 바이러스”

“코로나19 확진자”

“코로나 확진자”

“코로나19 사례”

“코로나 사례 희생자”

“코로나19 자가격리자”

“코로나 자가격리자”

“코로나19 자가격리대상자”

“코로나 자가격리대상자”

“코로나19 희생자”

“코로나 의심자”

“코로나19 의심사례”

“코로나 의심사례”

“코로나19 감염자”

“코로나 감염자”

“코로나19 접촉자”

“코로나 접촉자”

“코로나19 전파자”

“코로나 전파자”

“코로나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사람”

코로나19의 위험성만 정확하게 표현 역병, 종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공포를 일으키고, 확실하지 않은 소문 등을 공유하고 퍼뜨림

​COVID-19에 대한 정보를 다룰 때도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첫째, 사실만을 유포해야 한다.
둘째, COVID-19를 경험하고 회복되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COVID-19에서 회복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셋째, COVID-19를 설명할 때 특정 인종만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사회를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COVID-19 확진자의 행동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 보도는 사회적 낙인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감염 예방 방법과 COVID-19의 증상 내용을 중점으로 보도해야 한다.

특히 잘못된 정보와 루머, 인포데믹(infodemic:정보(Information)와 유행병(pandemic)의 합성어로, WHO에서는 정보의 과잉, 정보의 홍수라는 의미로 사용)은
COVID-19 위기를 더 빠르게 확산시키고, 부정적인 영향과 낙인, 차별 등을 일으키므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정보 전달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을 이번 웨비나를 통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COVID-19에 대한 예방수칙과 대처법을 잘 지킬뿐만 아니라,
사회적 낙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 방안도 꼭 숙지하시길 바라며
모두 모두 건강, 또 건강하세요 🙂

close
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