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1. 지속 가능한 대안적 세계시민교육 모델 수립 및 확산
2. 현장 중심 교육을 통한 전문성과 역량 강화
3. 아시아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적 교류
4.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 실천 과제 모색
내용
-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 주제별 국내 현장 방문
-
다양한 형태의 워크숍 참여
-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주제 특강
-
필리핀 국제개발 현장 스터디 투어
-
역사 및 빈곤 현장 다크투어, 생태 관련 에코투어
-
봉제, 보건, 농업 등 국제개발협력 현장 체험
SDGs 3. 건강권
|한국
- 지역 및 공동체의 건강에 대한 확장된 의미를 이해합니다.
- 건강한 사회적 관계와 지역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학습합니다.
|필리핀
- 1차 보건 의료서비스 및 주민 예방활동에 참여합니다.
- 지역 중심의 건강권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합니다.
SDGs 5. 성평등
|한국
- 한국 이주여성 인권 실태와 관련 활동을 이해합니다.
- 워크숍을 통한 성평등 이슈에 관련한 사고를 확장합니다.
|필리핀
- 타워빌 봉제센터 익팅(Igting) 활동에 참여합니다.
- 익팅 멤버들과의 교류를 통한 여성 자기결정권 이슈를 탐구합니다.
SDGs 7. 에너지
|한국
- 대안에너지, 적정기술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배우고 학습합니다.
-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소비 방안을 논의합니다.
|필리핀
- 에너지 자립 농장을 탐방하고 체험합니다.
- 깨끗하고 건강한 에너지 사용 방안을 함께 모색합니다
SDGs 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사회적 경제)
|한국
-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개념에 대해 학습합니다.
-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사례를 익히고 체험합니다.
|필리핀
-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현지의 사회적 기업을 탐방합니다.
- 건강한 경제성장에 대한 개념과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합니다.
SDGs 12. 지속 가능성
|한국
- 경제 성장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이해합니다.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합니다.
|필리핀
- 경제 성장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이해합니다.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합니다.
SDGs 16. 평화와 정의
|한국
- 식민지, 독재 역사를 통한 평화와 정의의 중요성을 이해합니다.
- 평화와 정의 실현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합니다.
|필리핀
- 필리핀 국립대학교 학생들과 교류하며 평화와 정의의 개념을 고민합니다.
- 필리핀, 한국 공동의 평화와 정의 구축을 위해 논의합니다.

DONATE NOW!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응원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