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시대의 보편적 문제에 대하여 지역기반의 지속가능한 해결방안을

함께 찾고, 생각하고, 실천해나가는 세계시민양성프로그램”

교육 목표

“캠프가 양성하고자 하는 세계시민”

  •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해심을 갖춘 세계시민
  • 캠프의 목표를 이해하고 협력하는 세계시민
  •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해 상호소통하는 세계시민
  • 보편적 문제를 지역을 통해 해결하는 세계시민
  • 능동적으로 삶의 전환을 이루는 세계시민

교육 과정

Start (질문하기) : 나와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돌아보며 질문하고, 우리의 생각에 편견은 없었는지 확인· 성찰·반성하기

Theory (이해하기) :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관련분야의 이론을 이해하기

Experience (살펴보기) : 문제해결을 위한 기존의 사례를 학습하고, 나·이웃·지역·세계·환경을 연결해 살펴보기

Practice (실천하기) : 나와 우리가 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찾고, 스스로 실천에 옮기며 세계시민으로 삶을 전환하기 (Re-born)

대표 교육주제 및 SDGs

평화와 정의

환경과 공존

빈곤과 불평등

위기와 안전

 신청방법

– 유선 연락 : 02-3147-0309/0310 (사단법인 캠프 본부)

– 이메일 연락 : campint@icamp.asia

☞ 신청서 접수 후, 개별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세계시민입니다’

            교육 주제

              – 울주군 고등학생 : 평화와 정의를 실천하는 ‘세계시민실천워크숍’ (2019)

              – 청소년 및 대학생 : 공존과 상생의 학교 밖 세계시민교육 ‘어서와, 세계시민은 처음이지?’ (2019)

              – 중장년 : ‘Re-born, 나는 세계시민으로 다시 살기로 했다!'(2020)

              – 세대통합 : 삶의 전환을 위한 세대공감 세계시민교육 : ‘세세세(세대공감, 세계시민, 세미나)’ (2021)

           교육 내용

               교육 성과

           ‘Local action, Global impact’

            교육 주제

              – 글로벌 이슈에 대한 청년들의 로컬 관점 솔루션

              – 한국·필리핀·인도네시아 청년의 상호교류를 통한 사고의 확장

            교육 내용

            – 빈곤 : 도시화와 젠트리피케이션

            – 기후위기 : 코로나 시대 환경과 플라스틱 문제

            – 평화와 인권 : 아시아 평화와 인권, 해결되지 않은 위안부 문제

            교육 형태

 

            교육 성과

             ‘일상의 평화, 메타버스에서 구축하다’

             교육 주제

              – 일상의 평화, 모든 폭력의 근절과 평화 실천

              – 평화 감수성 증진

            교육 내용

             – 한국-필리핀 청년들의 공동 평화 아젠다 연구

             – 뉴노멀 시대에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아젠다 연구

            교육 형태

 

        교육 성과

DONATE NOW!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응원해 주세요! 

close
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페이스북